재커리 테일러

최근 편집일시 :




재커리 테일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United States Congressional Gold Medal
미합중국 의회 명예 황금 훈장
[ 펼치기 · 접기 ]
1776년1777년1779년1781년
조지 워싱턴소장 호레이쇼 게이츠소장 앤서니 웨인사령관 헨리 리 3세준장 대니얼 모건
1781년1787년1800년1805년1813년
소장 너새니얼 그린존 폴 존스대령 토머스 트럭스턴준장 에드워드 프레블대령 아이작 헐
대령 스티븐 디케이터
대령 제이컵 존스
1813년1814년
대령 윌리엄 베인브리지대령 올리버 해저드 페리
대령 제시 엘리엇
대위 윌리엄 워드 버로스 2세
대위 에드워드 매콜
대령 제임스 로렌스대령 토머스 맥도너
대령 로버트 헨리
대위 스티븐 카신
1814년1814년, 1848년1814년
대령 루이스 워링턴대령 존스턴 블레이클리소장 제이컵 브라운소장 윈필드 스콧소장 피터 부엘 포터
준장 엘리저 윌락 리플리
대령 제임스 밀러
1814년1815년1816년
소장 에드먼드 P. 게인스소장 알렉산더 마콤소장 앤드루 잭슨대령 찰스 스튜어트대령 제임스 비들
1818년1835년1846년, 1847년, 1848년1847년1854년
소장 윌리엄 해리슨
주지사 아이작 셸비
대령 조지 크로간소장 재커리 테일러소머스 호의 장교 및 승무원 구출중령 덩컨 잉그함
1858년1863년1864년1866년1867년
프레더릭 로즈소장 율리시스 S. 그랜트코닐리어스 밴더빌트로버트 크레이튼
에드윈 J. 로
조지 C. 스투퍼
사이러스 웨스트 필드
1867년1871년1873년1874년, 1904년1883년
조지 피보디조지 F. 로빈슨대령 재러드 크랜달 그 외존 혼 주니어존 폭스 슬레이터
1888년1890년1900년1902년1909년
조지프 프랜시스수석 엔지니어 조지 W. 멜빌 그 외중위 프랭크 H. 뉴컴중위 데이비드 H. 자비스
소위 엘스워스 P. 버트홀프
새뮤얼 J. 콜 박사
라이트 형제
1912년1914년1915년1928년
선장 아서 로스트론폴 H. 크라이봄 그 외로물로 세바스티안 나온
에두아르도 수아레스 무히카
찰스 린드버그로알 아문센
움베르토 노빌
1928년1929년1930년1936년
토머스 에디슨최초로 성공한 대서양 횡단 비행사들소령 월터 리드준장 리처드 에벌린 버드링컨 엘즈워스
1936년1938년1939년1940년
조지 코한리처드 올드 리치 부인
안나 불리니
하워드 휴즈목사 프랜시스 퀸윌리엄 시넛
1942년1945년1946년
롤런드 바우처1939-1941년 미국 남극 탐험대 멤버들미합중국 육군 원수 조지 C. 마셜
미합중국 해군 원수 어니스트 킹
미합중국 육군 원수 존 조지프 퍼싱준장 빌리 미첼
1949년1954년1955년1956년1958년
앨번 W. 바클리어빙 벌린조너스 소크 박사남북 전쟁의 참전 용사들준장 하이먼 리코버
1959년1960년1961년1962년
로버트 고다드로버트 프로스트토머스 앤서니 둘리 3세밥 호프샘 레이번
1962년1968년1969년1973년1977년
미합중국 육군 원수 더글러스 맥아더월트 디즈니윈스턴 처칠로베르토 클레멘테매리언 앤더슨
1978년1979년
중장 아이라 C. 이커로버트 F. 케네디존 웨인벤 아브러조
맥시 앤더슨
래리 뉴먼
휴버트 험프리
1979년1980년1982년
미국 적십자케네스 테일러1980 미국 하계 올림픽 팀베아트릭스 여왕대장 하이먼 리코버
1982년1983년
프레드 워링조 루이스루이스 라머레오 라이언대니 토머스
1984년1985년
해리 S. 트루먼레이디 버드 존슨엘리 비젤로이 윌킨스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
1986년1987년1988년
네이선 샤란스키
에비탈 샤란스키
해리 차핀에런 코플런드메리 래스커제시 오언스
1988년1990년1991년
앤드루 와이어스로런스 록펠러대장 매튜 B. 리지웨이대장 노먼 슈워츠코프대장 콜린 파월
1994년1996년1997년
랍비 메나헴 멘델 쉬니어슨루스 그레이엄
빌리 그레이엄
프랭크 시나트라마더 테레사바르톨로메오스 1세
1998년 1999년
넬슨 만델라리틀록 9인제럴드 포드
베티 포드
로자 파크스시어도어 헤스버그
2000년
존 오코너찰스 M. 슐츠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널드 레이건
낸시 레이건
나바호족 코드 토커
2002년2003년
대장 휴 셸턴토니 블레어재키 로빈슨도러시 하이트 박사조지프 디레인
해리 & 일라이자 브릭스
레비 피어슨
2004년2006년
마틴 루터 킹
코레타 스콧 킹
터스키기 에어맨달라이 라마 14세바이런 넬슨노먼 볼로그 박사
2007년2008년
마이클 데바키 박사아웅 산 수 치콘스탄티노 브루미디에드워드 윌리엄 브룩 3세아메리카 원주민 코드 토커
2009년2010년
여성 공군 군무원 조종사들닐 암스트롱
버즈 올드린
존 글렌
아널드 파머무함마드 유누스제100 보병대대
제442 보병연대 전투단
군사정보국
2011년2012년2013년
몬트포드 포인트 해병전우회2001년 9월 11일 미국에 대한 테러 공격으로 사망한 남녀들라울 발렌베리애디 메이 콜린스
데니스 맥네어
캐럴 로버트슨
신시아 웨슬리
제1 특수임무단
2014년
둘리틀 특공대 멤버들미국의 공군 에이스들제2차 세계 대전 민간 항공 초계 부대 멤버들시몬 페레스모뉴먼츠 맨
2014년2015년2016년
제65 보병연대잭 니클라우스셀마 몽고메리 행진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인 참전 용사들OSS
2017년2018년
밥 돌래리 도비제2차 세계 대전 중국계 미국인 참전 용사들USS 인디애나폴리스의 승무원들안와르 사다트
2019년
스티브 글리슨캐서린 존슨크리스틴 다든도로시 본메리 잭슨
2019년2020년2021년
무명의 수여자들그렉 르몬드미국 국회의사당 경찰 및 컬럼비아구 경찰청 소속 경찰관들제369 보병연대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서 전사한 13명의 장병
2022년2023년
미 육군 제23 부대 본부 특수부대
제3133 신호 복무 중대
제6888 중앙우편대대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상선 선원들에밋 틸
메이미 틸모블리



미합중국 제12대 대통령
재커리 테일러
Zachary Taylor
파일:Zachary Taylor.jpg
출생1784년 11월 24일
미국 버지니아주 바버스빌
사망1850년 7월 9일 (향년 66세)
미국 워싱턴 D.C.
재임기간제12대 대통령
1849년 3월 4일 ~ 1850년 7월 9일
서명파일:재커리 테일러 서명.svg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리처드 테일러(1744-1829)
어머니 사라 테일러(1760-1822)
배우자마가렛 테일러
자녀앤 매컬 테일러
사라 녹스 테일러
옥타비아 판닐 테일러
메리 스미스 테일러
메리 엘리자베스 테일러
블리스 테일러
리처드 "딕" 테일러
학력해당사항 없음
종교개신교 (성공회)
신장173cm[1]
소속 정당[[휘그당|

휘그당
]]
군사 경력
복무미합중국 육군
1808년 ~ 1849년
최종 계급소장 (미합중국 육군)
참전미영전쟁, 미국-멕시코 전쟁
[1] 미영전쟁 당시 함께한 윌리엄 헨리 해리슨과 같다. 대통령 임기 도중 죽은 것도 같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Zachary_Taylor_by_Joseph_Henry_Bush,_c1848.jpg
백악관 공식 초상화[1]

1. 개요
2. 생애
2.1. 사망
3. 일화



1. 개요[편집]


미국의 제12대 대통령.

미영전쟁에서 윌리엄 헨리 해리슨과 함께 인디애나를 원주민들의 공격에서 지켜냈고 막바지인 1814년에는 존슨 요새를 점령하는 등의 공적을 세웠던 명장이다. 대통령이 된 후 얼마 가지 않아 체리를 과식해서 사망한다. 유일하게 테쿰세의 저주 대상자가 아닌데 임기 중 사망한 대통령이다.


2. 생애[편집]


1784년 버지니아 주의 부유한 농장주 리처드 테일러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가 죽은 후 민병대에 들어갔던 적이 있던 그는 교육을 마치고[2] 정식으로 미합중국 육군에 들어가게 된다.

입대하고 터진 첫 전쟁인 미영전쟁에서 윌리엄 해리슨과 함께 인디애나를 원주민들의 공격에서 지켜냈고 막바지인 1814년에는 존슨 요새를 점령하는 등의 공적을 세웠다. 이를 계기로 차근차근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잡아 승진을 하면서 군인으로서 지내던 그에게 제임스 K. 포크 대통령의 밀명이 전달되었다. 그 내용은 "국경을 넘어서 멕시코군을 도발하라!"는 내용이었고 그는 그대로 했다. 이렇게 해서 터진 전쟁이 바로 미국-멕시코 전쟁.

이 전쟁에서도 그는 뛰어난 실력으로 멕시코군을 격파하며 승장이 될 수 있었다. 휘그당원 대다수는 전쟁에 반대했는데도 불구하고 이러한 그의 인기를 높이 산 휘그당에서는 테일러를 대통령 후보로 지명했다. 어쨌건 마틴 밴 뷰런이 경선에서 자꾸 미끄러지자 독자 출마하여 민주당이 분열된 틈을 타 손쉽게 당선되었다.

참고로, 그의 취임식이 일요일이었는데 테일러가 자신은 그리스도인이어서 죽어도 일요일에는 취임선서를 못하겠다며 거부해 결국 하루 뒤인 3월 5일에 취임선서를 한다. 여기서 한가지 사소한(?) 논쟁이 생기는데, 대통령 임기가 만료됐기에 자연히 부통령도 임기가 만료되었고, 후임 부통령도 취임선서를 하지 않았기에 상원의장 대행이었던 데이비드 라이스 애치슨이 하룻동안 임시 대통령으로서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3]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를 부정하며 전임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된 시점에서 테일러가 대통령으로서의 권한을 가진다고 말한다. 하여튼 애치슨의 묘지에는 미국의 일일 대통령이라는 글씨가 쓰여져 있다.

그는 정치를 해본 적이 전혀 없는 전형적인 무골이었고 그간 1848년 이전에는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나타내지 않아 사람들은 그가 어떤 대통령이 될 지 도무지 알 수가 없었다. 대선 출마가 기정사실이 되자 정치적 신념이 알려지기 시작했는데, 기본적으로 군 출신답게 내셔널리스트였고, 주의 주권을 인정하기는 했지만, 미합중국은 어떠한 일이 있어도 깨져서는 안된다는 연방파였다. 비록 경제적으로 휘그당이 원했던 국가의 기반 시설 확충, 보호무역은 반대했으나, 정치적으로 대통령은 헌법에 관련되지 않는 이상 거부권을 사용하면 안 되고 의회에 맡겨야 한다는 것에는 동의했으므로 휘그당에서 그를 대통령 후보로 추대하게 된다. 추대될 때도 휘그당 전당대회에서 대놓고 "비록 휘그당 후보로 출마하지만, 무소속처럼 행동할 것이며 휘그당을 위해서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을 것이다"라고 하여 휘그당원들을 곤혹스럽게 했다. 실제로 그는 대통령 당선 이후에 공개적으로 휘그당의 경제 정책에 대해서 침묵했지만, 사적으로는 대놓고 반대를 함으로써 자주 휘그당과 충돌했다.

테일러는 남부 버지니아 주 출신이었고, 노예를 부렸던 지주집안의 아들이기 때문에 남부 유권자들은 그가 노예제 확대 찬성파일거라고 착각했지만, 사실 그는 노예 문제는 주에게 맡기자는 입장을 견지했다. 그의 제일 큰 관심사는 어떻게 협상을 해서 미국이라는 국가를 하나로 묶을지였다. 이는 남부 입장에서는 실망스러운 것이었는데, 남부는 캘리포니아 및 새로 편입된 영토와 주가 노예제를 합법화하여 자신들의 정치적 영향력을 넓히고 싶어했기 때문이다.[4] 본인 역시 남부 출신이자 노예 소유주라서 남부가 노예제를 유지할 권리를 당연히 존중했다.[5] 그러나 이런 중립적인 행동이 남부에서는 배신으로 받아들여졌고, 점점 남부 출신 정치인들이 미국을 갈라 독립하려는 의지를 강하게 보이자 이에 테일러가 남부를 달래기 위해 내세운 것이 헨리 클레이 등이 제시한 1850년의 타협안이다. 이 타협안 외에도 여러가지를 제시하는 한편 만약 정말 남부가 독립할 경우 본인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내려가 반역자놈들은 다 목매달아 주겠다고 강하게 나갔다.[6]

참고로 한국사 시점으론 이 사람 때에 조선왕조의 헌종철종 무렵이다.


2.1. 사망[편집]


이 타협안을 놓고 의회에서 옥신각신하던 중 독립기념일날 테일러는 갑작스럽게 쓰러졌다. 하필 그 날은 몹시 더운 날이었는데 상한 체리우유를 과식했다가 위장염이 나버렸고 그리고 5일 뒤에 세상을 떠났다.

이러한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해 미국에서 독살설이 도는 대표적 대통령이다. 거기다 테일러가 타협안에 반대하고 있던 것도 한 몫했다. 하도 소문이 끊이지 않자 사후 141년후 1991년 유해를 부검했다. 결과는 자연사였다. 그럼에도 이 밑밥은 완전히 사그라들지 않았다. 강직한 성품에 추진력을 갖추기는 했지만, 오래 살았다면 앤드류 잭슨 2기 정도 되었을 것이다. 본인도 남부 출신에 노예 소유주라 북부의 노예제를 없애자는 주장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지만, 군 출신에 열렬한 연방주의자였기 때문에 그가 대통령을 계속했다면 임기 내에는 적어도 링컨 시절같은 피비린내나는 내전은 없었을 것이라는게 중평이다. 그러나 앤드류 잭슨이 예견했던 것처럼 노예문제는 구실에 불과했고, 어쨌든 분리독립하고 싶어했던 남부가 언젠가 독립할 것이라는 건 거의 기정사실화되었기 때문에 시기만 늦춰졌지 남북전쟁은 피할 수 없었다. 그래서 음모론이 나왔던 것이고.

이렇게 휘그당의 두 대통령이 모두 군인 출신으로 취임 직후 병사하면서 휘그당은 빠르게 몰락하고 민주당이 다시 8년간 대통령을 배출하게 되며, 결국 링컨 때 휘그당은 공화당으로 재창당되게 된다.

그리고 테일러가 상한 우유로 인해 사망했다는 설이 2022학년도 수능특강 영어에 실려있다.

3. 일화[편집]


평생 군인으로 지낸 것 때문이었는지 죽는 순간에도 제법 담담한 태도를 보였다.

"I have always done my duty, I am ready to die. My only regret is for the friends I leave behind me."

"나는 항상 내 의무에 충실했으며, 죽을 준비를 하고 있었다. 내게 걱정이 하나 있다면 내가 떠난 후 남을 친구들이다."


인상이 무섭게 생겼다는 평을 듣지만 대인배적인 성격에 잘 웃기도 하는 성격이었다고 한다.

전쟁 등으로 명성을 높여서 얻은 별명은 "Old Rough and Ready(거칠고 노련한 준비된 지휘관)."

후일 아메리카 연합국 대통령이 된 제퍼슨 데이비스의 장인이었다. 항목 참조.

한 번은 미합중국 해군 사령관인 데이비드 코너 제독을 만날 일이 있었는데 코너 제독은 테일러와는 달리 복장에 대해 상당히 엄격한 군인이었다. 그래서 테일러는 예의를 지키기 위해 모처럼 군복을 FM대로 입고 코너 제독을 만나러 갔다. 그런데 막상 코너 제독을 만나자 테일러는 깜짝 놀랐는데 그 이유는 코너가 테일러에 대한 예우 차원에서 가벼운 사복 차림으로 테일러를 만나러 왔기 때문이었다. 두 사람은 서로를 쳐다보며 한참을 멍때리고 있다가 자초지종을 말하고 서로에게 사과를 했다고.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 당시 의사당에 있던 그의 흉상에 핏자국이 묻었다. 다른 흉상에도 핏자국이나 총탄 등이 있을 수 있겠지만, 현재까지 확인된 것은 그가 유일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18 02:12:34에 나무위키 재커리 테일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6:30:13에 나무위키 재커리 테일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초상화에서는 주로 군복을 입은 모습으로 그려지지만 정작 군인 시절에는 장군임에도 불구하고 병영에서 군복을 입는 것을 싫어했고 사복 상태로 있기를 좋아했다고 한다. 한 일화를 들면 테일러의 부대에 새로 부임한 신임 육군 장교가 늙은 촌부의 모습으로 술을 먹고 있는 테일러를 알아보지 못하고 테일러에게 "요즘 인디언들 때문에 고생이 많지? 내가 다 무찔러 줄게"라고 떠벌렸는데 테일러는 그 장교의 장단을 맞춰주며 "그래 주시면 정말 고맙습죠"라고 응수했다. 다음날 그 장교가 지휘관에게 인사를 하러 지휘관실을 찾아오자 군복을 입고 있던 테일러를 보고 깜짝 놀라 데꿀멍하며 사죄했지만, 테일러는 웃으면서 "처음 보는 사람을 옷으로 평가하면 안 된다네. 친구"라고 충고를 해 주고 넘어갔다고 한다. [2] 당시 그가 살던 곳은 켄터키와 인접해 있었는데 그곳에는 아직 학교가 없었기에 그는 가정교사의 교육을 받았다고 한다.[3] 애치슨은 잠자다가 판사로부터 이 사실을 전해들었고 그 판사는 애치슨에게 미합중국 대통령으로서 자신을 국무장관으로 임명해달라고 농담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캘빈 쿨리지와 함께 잠자다가 대통령이 된 사람 중 한명으로 소개한다. 일화에 따르면 애치슨이 3월 4일 하룻동안 쭉 자고 있었다고 말했는데 이 일화대로라면 몇분 동안은 깨어있었던 셈.[4] 서부 신개척지에는 남부인들보다는 북부인들이 주로 진출했기에 노예제에 반대하는 성향이 강했다. 주에 알아서 맡기면 새로 생겨날 주들은 모두 노예제에 반대했을 것이다.[5] 당시 이런 경향은 상당히 흔한 것이었다. 당장 제퍼슨만 봐도 그렇다.[6] 앤드류 잭슨과 비슷한 성향인데, 앤드류 잭슨 역시 남부 주들에게 동정적이었으나, 자꾸 찡찡대면서 독립하려고 하는 주들에게는 단호한 입장을 표명했다. 테일러의 후임인 필모어도 마찬가지로 북부 출신으로서 남부에 편을 들어줬는데도 사우스 캐롤라이나(남부연합의 첫번째 주가 된 주이기도 하다)가 연방을 탈퇴할 기미를 보이자 그러면 군사조치로 답하겠다고 함으로써 찍어눌렀다.